경제용어사전

신용정보이용 보호법

 

개인의 신용정보를 이용하는 업체에 대한 자격 요건과 신용정보를 보호할 목적으로 신설된 제도. ‘신용정보사업자’로 허가받은 업체나 금융기관이 업무목적 외로 신용정보를 누설할 경우 손해배상의무를 지게 된다.

한신평한신정, 한기평 등 기존의 신용평가회사 등은 이 법에 의해 ‘신용정보사업자’로 허가받아 신용조사 및 신용조회업무를 할 수 있게 된다. 개인의 대출금이 일정 금액을 넘을 경우 대출현황이 은행연합회에 집중돼 각 금융기관이 개인별 대출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이 법은 1995년 7월 6일부터 시행되었다. 신용정보제공 이용자란 신용정보법 시행령에 규정된 은행, 증권, 보험, 상호신용금고, 농수축협 등 금융기관과 대형유통업체, 카드회사, 중소기업협동중앙회 등이다.

  • 수권자본[authorized share capital]

    주식회사가 정관에 기록된 데에 따라 최대한으로 발행할 수 있는 주식의 수. 주식회사는 수권...

  • 상품·서비스세[Goods and Service Tax, GST]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세금을 메기는 인도판 부가가치세를 말한다. 2016년 8월 3일 ...

  • 석유전자상거래

    2012년 3월 기름값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정유업체, 수출입업자, 석유제...

  • 신용보증기금[Korea Credit Guarantee Fund]

    주로 담보력이 미약한 중소기업에 보 등을 해주는 기관이다. 신용보증기금이 취급하는 보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