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배터리 파우치

[battery pouch]

2차 전지(배터리)의 내용물을 감싸주는 핵심소재로 필름형태이다.
배터리 파우치는 플라스틱과 접착제, 알루미늄을 층층이 쌓아서 만든다.

7겹(소형)~9겹(중대형)을 쌓으면서도 두께는 소형이 0.1㎜, 중대형이 0.15㎜에 불과하다. 산소에 닿기만 해도 불이 붙는 고순도 리튬 등 반응성 높은 재료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면서도 가볍고 유연성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한국은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 4대 원재료는 대부분 국산화에 성공했다.

하지만 원재료를 감싸주는 핵심 소재인 파우치는 여전히 일본에 100% 의존하고 있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모든 배터리 제품이 파우치를 쓰는 리튬폴리머전지다. 삼성SDI는 소형(휴대폰)에 파우치형, 중대형(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에는 파우치가 필요 없는 각형(금속상자)을 쓴다.


글로벌 파우치 시장은 일본의 DNP와 쇼와덴코 등 두 회사가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두 회사 모두 연매출 10조원, 영업이익률 20% 이상을 유지하는 초우량기업이다. 매년 연구개발(R&D)에만 2000억~3000억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DNP는 파우치 외에도 각종 필름류에, 쇼와덴코는 에칭가스 등 화학제품에 강점이 있다.

DNP와 쇼와덴코는 중국 시장에는 고품질 파우치를 ㎡당 최고 6.5달러에 공급하면서 한국 3사에는 그 절반 가격에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수요가 많은 중국에선 고가 방침을 유지하는 한편 한국에서는 국산화를 저지하기 위해 저가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범LG가(家) 희성그룹의 희성화학은 2009년 파우치 개발에 들어갔으나 이 같은 저가 공세에 밀려 2017년 BTL첨단소재에 사업을 양도했다. BTL첨단소재는 효성 필름사업부 연구팀장 출신인 천상욱 대표가 2017년 설립한 기업이다. 농심그룹 계열사인 율촌화학은 세계 시장점유율 3%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나 모두 중국에 판매한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국산 파우치 사용을 독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셀렌테크놀로지는 2016년 일본의 파우치 업체 토판을 인수한 이후 CATL, BYD 등 중국 배터리업체에 공급을 늘리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베이큰[bacn]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 e-메일로 스팸 메일처럼 귀찮지만 사용자가 수신을 허락한 신문사의...

  • 비대면 의료

    전화나 영상으로 상담·처방 받는 것으로 큰 맥락에서는 원격의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

  • 비자웨이브[Visa Wave]

    마스타카드의 페이패스와 함께 세계 시장 확보를 놓고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비접촉시 신용카드...

  • 복합제[compounding agents]

    2종 이상의 주성분을 함유하는 의약품을 말한다. 합성물로서 각각의 성분을 분리, 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