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진법 반도체
[Ternary Metal-Oxide-Semiconductor]정보를 0, 1, 2 값으로 처리하는 반도체. 3진법 반도체는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이 줄어 계산 속도가 빠르고 그에 따라 소비전력도 적다. 또한, 반도체 칩 소형화에도 강점이 있다.
예를 들어, 숫자 128을 표현하려면 2진법으로는 8개의 비트(bit, 2진법 단위)가 필요하지만 3진법으로는 5개의 트리트(trit, 3진법 단위)만 있으면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이 적고 반도체 칩을 작게 만드는 것도 쉽다.
2019년 7월 17일 UNIST(울산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김경록 교수 연구팀이 초절전 '3진법 금속-산화막-반도체(Ternary Metal-Oxide-Semiconductor)'를 세계 최초로 대면적 실리콘 웨이퍼에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
3D 프린터[3D printer]
3차원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폴리머, 금속 등의 소재를 용융하거나 파우더를 적층하는 방식...
-
32Gb DDR5 D램
2023년 9월 1일 삼성전자가 개발 성공을 발표한 D램. 12나노급 기술을 사용한 것으로...
-
3차원 구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3D application processor, 3D AP]
3차원 AP는 시스템 반도체나 메모리 등 서로 다른 반도체 칩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만든 모...
-
3D 산업
더럽고(dirty), 힘들고(difficult), 위험스러운(dangerous) 분야의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