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양극재

[cathode materials]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 등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로 소재. 생산원가의 40%가량에 달해 배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음극재와 분리막, 전해액과 함께 배터리의 4대 소재로 불린다.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결정한다. 에너지 밀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양극활물질의 에너지밀도를 최대로 높여야 하는데 배터리로서 적합한 성능을 내는 양극활물질로는 Ni(니켈), Mn(망간), Co(코발트), Al(알루미늄) 등을 꼽을 수 있으며 니켈은 고용량 특성, 망간과 코발트는 안전성, 알루미늄은 출력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양극재는 이들 물질을 적당한 비율로 섞어 만드는데, 크게 NCM(nickel cobalt manganese)과 NCA(nickel cobalt aluminum) 두 종류의 양극재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전기차용 배터리에는 주로 니켈 함량이 높은 양극재가 쓰인다. 양극재 내에 니켈 함량이 높을수록 배터리 용량 증대가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니켈 함량이 높으면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안정성을 얻는 게 양극재 기술의 핵심으로 꼽힌다.

  • 여행자보험

    여행 출장 나들이 중에 발생한 상해 질병 등의 신체사고는 물론이고 휴대물품 손해, 타인에 ...

  • 입력비트[input bit]

    디스플레이 내 드라이브IC(DDI)에서 처리하는 입력데이터의 조합을 표시하는 것. 8비트는...

  • 유트레이드 허브[ubiquitous trade hub, UTradeHub]

    서류 없는 무역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가 구현한 국가무역허브. 무역, 물류, 은행, ...

  • 워터 프런트[water front]

    물가 연안 등으로 번역이 가능하지만 이 단어에는 도시라는 개념이 포함돼 있다. 즉, 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