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
어깨관절을 감싼 관절낭이 오그라들어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다.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부른다. 어깨가 얼어버린 것처럼 굳는 느낌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아 동결견이라고도 부른다. 낮보다 밤에 통증이 심하고 누워 있을 때 통증과 불편함을 느낀다. 오십견이 생기면 어깨 운동 범위가 제한돼 팔을 올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한쪽 어깨에 통증이 잦아든 뒤 반대쪽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다. 증상이 심해지면 팔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해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낀다. 다른 어깨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오십견이 생긴 초기에는 진통소염제를 먹거나 물리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등으로도 증상이 완화된다. 환자 90% 정도는 3~6개월가량 이 같은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좋아진다.
통증이 계속되면 관절 내시경 치료를 한다. 오십견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은 스트레칭이다. 일상생활에서 수건 또는 우산을 활용해 어깨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스트레칭은 시간을 정해 하루 서너 차례 반복하는 게 좋다. 스트레칭 전 따뜻한 수건 등으로 찜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중년 이후 어깨통증이 생기면 오십견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요즘에는 10~40대 환자도 많다.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운동이 부족해서다. 다른 어깨질환일 가능성도 높다. 어깨를 다치지 않았는데도 계속 아프다면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해봐야 한다.
노화 때문에 생기는 오십견은 대부분 수술하지 않고도 치료할 수 있지만 회전근개파열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수술해야 한다. 두 질환은 환자 스스로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좋다. 다만 오십견은 통증 때문에 만세 자세처럼 손을 번쩍 드는 것이 어렵지만 회전근개파열은 이보다는 운동 제약이 덜한 환자가 많다.
관련어
- 참조어어깨석회성건염
-
외국은행지점[foreign bank branches in Korea]
은행법에 설립근거를 두고 있으나 외국환은행으로서 뿐만 아니라 자본금에 해당하는 영업기금(갑...
-
임금피크제 보전수당제도
일정 연령에 이른 노동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임금피크제를 실시...
-
양자도약[quantum jump]
"양자도약"은 물리학과 경제·경영 분야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물리...
-
이재상품[理財商品]
중국의 은행들이 판매하는 금융투자상품으로 머니마켓펀드(MMF)와 비슷하다. 투자자로부터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