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회추구형 크레디트

[opportunistic credit]

복잡한 기업 인수합병(M&A)이나 자본 재조정 등을 위해 일시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우량 기업에 사모 주식펀드에 비해 낮은 요구 수익률로 투자하는 전략이다.

만기와 이자가 있는 대출이나 상환우선주 방식으로 투자한다.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원금 손실 위험을 지고 중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기업들은 PEF 투자와 달리 경영권을 양보하지 않으면서 낮은 조달비용으로 투자받을 수 있어 최근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시장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원금보호 장치가 마련돼 있으면서도 10%중반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로 꼽힌다.

  • 국영무역

    우루과이라운드협상 타결 이후 무분별한 농산물 수입에 따른 농어민의 피해를 막기 위해 농산물...

  • 근로자이사제

    노동조합이 이사를 선임해 이사회에 파견하는 제도. 근로자 또는 노동자의 경영참여를 보장하는...

  • 계속비

    한 회계년도를 넘어 지출할 필요가 있는 사업에 대하여 미리 국회의 의결을 얻은후 5년 이내...

  • 기관투자가[institutional investor]

    개인이나 법인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증권시장에 투자하고 있는 법인 형태의 투자자를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