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 화폐.

주로 미국 달러나 유로화 등 법정 화폐와 1대 1로 가치가 고정되어 있는데, 보통 1코인이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다.

일부는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이나 다른 암호화폐에 연동되기도 한다.

테더(Tether, USDT) 코인이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며 이 외에도 HUSD, PAX, GUSD, USDC 등의 다양한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됐다.

다른 가상화폐와 달리 변동성이 낮아 가상 화폐 거래나 탈중앙화 금융인 '디파이(DeFi)' 같은 가상화폐 기반 금융상품에 이용된다.

이들은 가상화폐와 법정화폐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기존 금융 시장과 탈중앙화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담보가 충분해야 안전하기 때문에,투자자들은 각 스테이블코인의 담보 상태와 발행 기관의 신뢰도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 신디케이션[syndication]

    개별 은행들이 사채발행이나 국제차관 등을 추진하기 위해 주간사 은행의 주재하에 차관단을 구...

  • 스위프트노믹스[Swiftonomics]

    미국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공연 및 활동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는 용어. ...

  • 스트레스 DSR

    변동금리 대출 등을 이용하는 차주가 대출 이용기간 중 금리인상으로 인해 원리금 상환부담이 ...

  • 사이버 세대[cyber generation]

    인터넷 등 컴퓨터와 정보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사회환경에 익숙한 10대들을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