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 화폐.

주로 미국 달러나 유로화 등 법정 화폐와 1대 1로 가치가 고정되어 있는데, 보통 1코인이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다.

일부는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이나 다른 암호화폐에 연동되기도 한다.

테더(Tether, USDT) 코인이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며 이 외에도 HUSD, PAX, GUSD, USDC 등의 다양한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됐다.

다른 가상화폐와 달리 변동성이 낮아 가상 화폐 거래나 탈중앙화 금융인 '디파이(DeFi)' 같은 가상화폐 기반 금융상품에 이용된다.

이들은 가상화폐와 법정화폐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기존 금융 시장과 탈중앙화 디지털 자산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담보가 충분해야 안전하기 때문에,투자자들은 각 스테이블코인의 담보 상태와 발행 기관의 신뢰도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 실질지배

    이사회 구성원의 임면권을 갖거나, 법규나 약정에 의해 재무 · 영업정책을 결정할 능력이 있...

  • 섬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그래픽 파일을 작게 만든 것을 가리킨다.그래픽 프로그램이나 홈페이지에서 원래 그림 파일보다...

  •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subscription warrant, BW]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warrant)가 붙은 채권이다...

  • 시장결정적 환율

    시장결정적(market determined) 환율이란 환율 분쟁의 해법으로 2010년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