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카도 대등정리

[Ricardian equivalence theorem]

정부 지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세를 감면하고 국채 발행을 통해 지출 재원을 조달하더라도 경제의 실질 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내용이다.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며 미래지향적임을 가정하므로 소비이론 중 절대소득가설보다는 항상소득가설이나 생애주기가설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리카도 대등정리는 제약된 가정에서 도출했기 때문에 성립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중 하나가 유동성 제약이다.

  • 레이저 변위 센서[layser displacement sensor]

    레이저 광을 사용해 물체의 위치, 높이, 거리, 편차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 락업 옵션[lock-up option]

    우호적 3자에게 자사 또는 자사의 일부를 평가액 또는 시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 리우회의[Rio Conference]

    1992년 6월 3일부터 14일까지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 126개국의 대표들과 민간단체...

  • 램시마SC[RemsimaSC]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의 피하 주사형 제제. 램시마는 존슨앤드존슨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