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카도 대등정리

[Ricardian equivalence theorem]

정부 지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세를 감면하고 국채 발행을 통해 지출 재원을 조달하더라도 경제의 실질 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내용이다.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며 미래지향적임을 가정하므로 소비이론 중 절대소득가설보다는 항상소득가설이나 생애주기가설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리카도 대등정리는 제약된 가정에서 도출했기 때문에 성립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중 하나가 유동성 제약이다.

  • 리플레이션[reflation]

    경제가 디플레이션(deflation) 상태에서 벗어낫지만 심각한 인플레이션(inflatio...

  • 러스트 벨트[rust belt]

    러스트 벨트는 미국 북동부 5대호 주변의 쇠락한 공장지대다. 러스트(rust)는 영어로 ...

  • 리얼오디오[real audio]

    인터넷의 웹사이트는 기본적으로 문자·그림·음성정보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인...

  • 로빈후드세[Robin Hood Tax]

    중세 영국의 의적(義賊) 로빈후드가 탐욕스런 귀족이나 성직자, 상인들의 재산을 빼앗아 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