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청년은 일자리를 못 구하고 중소기업은 우수한 인재가 부족한 ‘인력 미스매치(불균형)’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2014년 8월 시작한 ‘내일채움공제’는 근로자가 월평균 12만원을, 기업이 30만원을 납입해 5년간 2000만원 이상 목돈을 마련하는 제도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진흥공단은 2018년 3월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새로 도입했다. 청년근로자, 기업, 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일정 기간 적립하고 만기 때 적립금 전액을 청년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것이다. 근로자는 월 12만원, 기업은 월 20만원을 5년간 적립하고 정부도 최초 3년간 1080만원을 지원한다. 근로자는 5년 만기 재직 후 3000만원을 받는다. 가입 대상은 중소·중견기업에 1년 이상 근무한 만 15~34세 청년근로자다. 기업은 부담한 공제납입금에 대해 100% 손비 인정과 25%의 세액공제 등 세제 혜택을 받는다.

  • 최대 지불 의사[reservation price]

    어떤 품질의 어느 물건에 대해서는 최대 얼마까지 지불하고 사겠다는 의도를 말한다. 똑같은 ...

  • 차입매수

    타인자본, 즉 외부 차입금으로 조달된 자금으로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것. 자금 여력이 충분...

  • 채권혼합형 펀드

    총자산의 60% 또는 70% 이상을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주식 비중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 책임준비금[policy reserves]

    보험사가 보험계약자 또는 수익자에게 향후 보험금, 환급금,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적립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