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탈렉시트

[Italexit]

이탈리아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서 탈퇴하는 것.
2018년 5월 하순 들어 반(反)EU 전선을 형성한 ‘오성운동’과 최대 야당 ‘리가(동맹)’가 연정 구성을 앞두고 친(親)EU 성향의 세르조 마탈리 대통령과 충돌했다. 연정 구성이 지연되면서 7월 재선거 얘기까지 나온다. 오성운동이나 리가가 다시 선거에서 이기면 ‘이탈렉시트(이탈리아의 EU 탈퇴)’가 현실화될 조짐이다. 이탈렉시트 우려로 인해 한때 세계 주가가 출렁거리기도 했다.

일부 전문가는 이번 위기가 ‘그렉시트(그리스의 EU 탈퇴)’ 우려를 낳았던 2012년 유럽 재정위기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이탈리아가 위기에 빠지면 그리스와는 비교할 수조차 없다. 그리스 구제금융에는 총 2500억유로의 자금이 들어갔다. 이탈리아는 유로존 3위 경제대국이며 국내총생산(GDP)이 그리스의 10배다. 이탈리아가 재정위기에 빠지면 국제통화기금(IMF)이 최대 5000억유로, 유럽안정화기구(ESM)가 4000억유로를 쏟아부어도 부채 구제가 어려울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이탈리아는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132%로, 그리스에 이어 유로존에서 두 번째로 높다.

이탈리아는 1990년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과 헬무트 콜 독일 총리가 맺은 유럽 통합에 적극 환영했다. 1996년에 들어선 중도·좌파 연합 정부는 통화 안정을 목적으로 유로화 통용을 인정했다. 당시 가장 많이 평가절상된 화폐의 하나가 이탈리아 리라였다.

이탈리아인들은 여행을 가거나 값싼 수입품을 구매하는 등 화폐 절상의 단맛을 누렸지만 이탈리아산 제품은 경쟁력을 잃게 됐다. EU 역내에서 이탈리아의 가치사슬은 경쟁력을 갖지 못했고 오히려 독일 제품의 소비처가 돼 버렸다.

  • 임금채권보장제도

    사업주가 도산 등으로 인해 퇴직노동자의 임금이나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됐을 때 정부가 ...

  • 유전체칩

    유전체칩은 사람마다 가진 유전정보를 손톱만한 크기의 반도체칩에 담은 것이다. 한국인칩은...

  • 일함수[work function]

    전극에서 전자 하나를 외부로 끌어내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작업량이나 에너지

  • 이자라[Ijara]

    무라바하 다음으로 이용도가 높은 방식으로 리스와 비슷하다. 금융회사가 설비나 건물 등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