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핀오프

[spin off]

정부출연기관의 연구원이 자신이 참여한 연구결과를 갖고 창업할 경우 정부 보유로 되어 있는 기술의 사용에 따른 로열티를 면제해주는 제도. 미국에서는 항공우주국(NASA) 등에 근무했던 연구원들이 개발에 성공한 첨단기술을 토대로 벤처기업을 창업, 국가 경제발전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정부출연 연구소는 내규등을 통해 ‘스핀오프’를 금지하고 있어 벤처기업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② 기업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부 사업부문을 떼어내 자회사로 독립시키는 것으로 기업간인수·합병(M&A)의 반대라 할 수 있다. 기업이 스핀오프를 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사업부문을 여러 개의 자회사로 독립시켜 경영효율을 기하고 주주들의 만족을 높이려는 데 있다. 한편으로는 기업들이 스핀오프를 통해 군살을 빼려는 의도도 있다.

  • 셀프산업

    소비자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만들거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경제효과를 거두는 비즈니...

  •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상품. 우리말로 ...

  • 스칸디맘[Scandimom]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출간한 에서 처음 제시한 용어로 북유럽적 가치관을 갖고 있...

  • 스맥스족[Suburban Mortgage and Kids, SMAKS]

    교외(suburb)에 거주하며 저당·대부 (mortgage)로 집을 장만하고 아이(k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