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핀오프

[spin off]

정부출연기관의 연구원이 자신이 참여한 연구결과를 갖고 창업할 경우 정부 보유로 되어 있는 기술의 사용에 따른 로열티를 면제해주는 제도. 미국에서는 항공우주국(NASA) 등에 근무했던 연구원들이 개발에 성공한 첨단기술을 토대로 벤처기업을 창업, 국가 경제발전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정부출연 연구소는 내규등을 통해 ‘스핀오프’를 금지하고 있어 벤처기업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② 기업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부 사업부문을 떼어내 자회사로 독립시키는 것으로 기업간인수·합병(M&A)의 반대라 할 수 있다. 기업이 스핀오프를 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사업부문을 여러 개의 자회사로 독립시켜 경영효율을 기하고 주주들의 만족을 높이려는 데 있다. 한편으로는 기업들이 스핀오프를 통해 군살을 빼려는 의도도 있다.

  • 사망률[death rate, mortality rate]

    어느 특정 집단의 구성원이 어느 기간 내(보통 1년)에 사망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이다. 보...

  • 성과주의 예산제

    정부 각 기관이 예산사업의 성과 목표와 달성 방법을 제시하고, 예산 당국이 매년 성과 결과...

  • 서울병[Seoul Syndrome]

    서울병’은 한국의 수도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귀국 후 일상으로 복귀하면서 느끼는 정서적...

  • 사업비[business expenses]

    (보험) 사업비는 보험회사가 보험영업에 쓰는 돈이다. 이 돈은 물론 보험가입자가 내는 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