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상승 인플레이션
[cost-push inflation]제품의 생산비용 상승으로 제품가격이 올라 물가가 오르는 현상.
비용상승의 원인으로는 석유와 같은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성 증가율보다 높은 노동자의 과도한 임금 인상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생산요소 비용을 상승시켜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상향 이동한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과 더불어 경기 침체가 함께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이런 상황에서 침체된 경기에 대응하고자 통화량을 늘리거나 재정지출을 증가시키면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화된다. 반면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줄이면 경기는 더욱 침체돼 정부나 금융당국이 정책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
베지플레이션[Vegeflation]
채소(Vegetabl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채소류 가격 급등에 따...
-
배타적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 EEZ]
영해기선으로부터 2백해리 범위 내에서 연안국의 경제주권이 인정되는 수역을 말한다. 1994...
-
바이아웃[buy-out]
기업의 지분 상당부분을 인수하거나 아예 기업자체를 인수한 후 대상기업의 정상화나 경쟁력 강...
-
부채배당[liability dividend]
회사가 현금은 부족하지만 유보금액이 많을 때 지급어음으로하는 배당.현금배당은 미래에 발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