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백혈병

[lukemia]

혈액암의 일종으로 백혈구에 암이 생기는 것이다.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늘어 정상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이 만들어지는 데 문제가 생긴다. 면역력이 떨어져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 빈혈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출혈도 생긴다.
백혈병은 급성 백혈병과 만성 백혈병으로 나뉜다. 어떤 세포에서 문제가 됐는지에 따라 골수성, 림프구성으로 구분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급성 백혈병의 65%를 차지한다. 인구 10만 명당 16.7명 정도가 이 병에 걸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환자 대부분이 65세 이상이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생기면 두통 피로감 어지럼증 등 빈혈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혈소판이 줄어 코피가 잘 나거나 잇몸 등에서 피가 나는 일도 있다. 한번 피가 나면 잘 멈추지 않는다. 피부 아래 혈관이 터져 전신에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비장이나 간이 커지고 림프절이 부어오르기도 한다. 치료받지 않으면 수개월 안에 사망할 위험이 크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을 밝히기는 어렵지만 유전질환이 있거나 방사선을 많이 쬐면 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암제 치료로 위험이 높아지기도 한다. 다양한 원인 때문에 유전자가 바뀌고 이로 인해 암유전자가 활성화되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의심되면 혈액 검사를 해 혈액 세포 숫자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뼛속 골수와 혈액을 채취해 검사한다. 백혈병은 하나의 암 세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세포 수가 1012개 정도 됐을 때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 세포들의 무게는 1㎏ 정도다. 1차 치료에 성공하면 이 세포 수가 108개까지 줄어든다. 주로 항암제를 쓴다. 1차 치료 성공률은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60% 이상이다. 이후 남은 종양을 없애기 위해 고용량 항암치료, 조혈모세포 치료 등을 한다. 이들 치료를 받는 환자 완치율은 35~40% 정도다. 65세 이상 환자에게는 표적치료제 등도 많이 활용한다.

  • 보호무역[protective trade]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대외무역에 개입하는 무역 제도이다. 재화 용역 등 교역...

  • 비행정보구역[flight information region, FIR]

    민간 항공기의 비행공역을 구분한 선으로 국가별로 중첩되지 않는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 발열유리[heating glass]

    말 그대로 열을 발생시키는 유리. 성에등을 제거할 뿐 아니라 열손실을 줄이는 단열재 효과도...

  • 보험회사 리스크평가제도[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System, RAAS]

    보험회사 경영활동에 수반되는 리스크의 규모 및 관리능력을 계량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