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블루 리본

[blue ribbon]

인터넷의 사용자인 네티즌들이 정부 당국의 사전 검열에 대항하여 펼치는 온라인 정보 자유화 운동.

이 캠페인에 참여하는 네티즌들이 자신의 홈페이지에 파란 리본 그림을 띄우는 데에서 그 명칭이 비롯되었다. 블루 리본은 1995년 6월 미국 의회에서 공공통신망에 저속한 내용의 자료를 올릴 경우 형사처벌을 강행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엑슨 수정안 중 ''정보통신품의 조항''이 통과되자 이에 맞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미국 이외 국가의 네티즌들도 자국 정부의 정보검열 및 통제 정책에 반대할 때 이 상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블루 리본의 의의는 전반적인 사회체제가 후기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급격히 변해감에 따라 정보독점이 곧 권력독점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부의 정보통제는 견제되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우리나라의 블루 리본 운동은 1995년 초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만들어진 후 정부가 특정 기업의 파업속보를 온라인상에서 삭제하는 등의 통제작업에 나서자 1996년 4월부터 서울대 사회대학생회를 주축으로 시작되었다.

  • 부양가족연금

    부양가족연금(가족연금)은 국민연금 수급자가 부양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 기본연금액 외에 추...

  • 블랙컨슈머[black consumer]

    악성을 뜻하는 블랙(black)과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머(consumer)를 합해 만든 말...

  • 브이 칩[violence chip]

    텔레비전 수상기 안에 내장하여 수신되는 방송 중 폭력(violence) 및 섹스물을 걸러주...

  • 버스준공영제

    지방자치단체가 버스에서 나온 모든 수입을 일괄적으로 모은 다음 각 버스회사에 분배금 형식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