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블루 리본

[blue ribbon]

인터넷의 사용자인 네티즌들이 정부 당국의 사전 검열에 대항하여 펼치는 온라인 정보 자유화 운동.

이 캠페인에 참여하는 네티즌들이 자신의 홈페이지에 파란 리본 그림을 띄우는 데에서 그 명칭이 비롯되었다. 블루 리본은 1995년 6월 미국 의회에서 공공통신망에 저속한 내용의 자료를 올릴 경우 형사처벌을 강행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엑슨 수정안 중 ''정보통신품의 조항''이 통과되자 이에 맞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미국 이외 국가의 네티즌들도 자국 정부의 정보검열 및 통제 정책에 반대할 때 이 상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블루 리본의 의의는 전반적인 사회체제가 후기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급격히 변해감에 따라 정보독점이 곧 권력독점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부의 정보통제는 견제되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우리나라의 블루 리본 운동은 1995년 초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만들어진 후 정부가 특정 기업의 파업속보를 온라인상에서 삭제하는 등의 통제작업에 나서자 1996년 4월부터 서울대 사회대학생회를 주축으로 시작되었다.

  • 박스카[box car]

    엔진 룸, 객실, 트렁크, 룸이 한 개의 박스형으로 공존하는 형태의 차. 현재의 밴류가 대...

  • 보보스족[Bobos]

    보보스는 부르주아(bourgeois)와 보헤미안(Bohemian)의 합성어로 미국의 저널리...

  • 비용상승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제품의 생산비용 상승으로 제품가격이 올라 물가가 오르는 현상. 비용상승의 원인으로는 ...

  • 불태화정책[sterilization policy]

    해외 부문으로부터 외자유입이 늘어 국내통화량이 증가하고 물가상승이 일어날 경우 이를 상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