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유기염소 계열의 살충제이자 농약.
값싸고 빠르게 해충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세계대전 이후 널리 보급됐다.

그러나 1960년대에 무분별한 DDT 살포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미국에서는 1972년, 한국은 1979년부터 사용을 금지했다.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감각이상, 마비, 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반감기(체내에 들어오면 물질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가 최대 24년으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도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 대위[subrogation]

    타인을 채권자의 자리에 대체시키는 것, 채무에 대한 그의 권리를 타인이 승계하는 것, 다른...

  • 디플레이션[deflation]

    인플레이션(inflation)의 반대 개념으로 일반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

  • 대체부품 인증제

    자동차 제조사가 차를 만들 때 사용하는 부품과 유사한 품질의 부품(대체부품)을 저렴한 가...

  • 다보스 포럼[Davos Forum, WEF]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 세계 각국의 거대기업 회장 및 각료급 이상 인사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