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유기염소 계열의 살충제이자 농약.
값싸고 빠르게 해충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세계대전 이후 널리 보급됐다.

그러나 1960년대에 무분별한 DDT 살포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미국에서는 1972년, 한국은 1979년부터 사용을 금지했다.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감각이상, 마비, 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반감기(체내에 들어오면 물질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가 최대 24년으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도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 드로다운 로스[drawdown loss]

    대손실

  • 듀얼 모멘텀

    투자 자산 가운데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곳에 투자하는 상대모멘텀에다 투자 자산의 절대적...

  • 당좌예금[current deposit]

    일정한 개설보증금을 납입하고 은행과 당좌거래 계약을 체결한 예금주가 예금잔액 범위 내 또는...

  • 대체투자[alternative investment]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 상품이 아닌 다른 대상에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대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