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위해 정유사 또는 석유수출입업자가 수송용 연료에 일정비율 이상의 신재생에너지 연료를 혼합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에 따르면 정유사는 공급하는 휘발유와 경유에 바이오연료 혼합 비율을 매년 높여야 하며 목표치를 달성했음을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이 제도는 미국에서는 2005년에 도입되었으며 한국에서는 2015년 7월30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

    어떤 요소의 생산활동이 그 요소의 생산성 외에 다른 요소의 생산성을 증가시켜 경제 전체의 ...

  •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연기금과 자산운용사 등 주요 기관투자가가 주인의 재산을 관리하는 집사(steward)처럼 ...

  • 선주상호조합[Protection & Indemnity Club, P&I]

    통상 일반 해상(선박)보험의 적용 대상이 아닌 승객 ,선원, 화물 피해를 보상받기 위해 선...

  • 생활유산

    많은 사람에게 기억되고 이어져 내려오는 시설, 기술, 업소 등이나 생활모습, 이야기 등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