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웨이 타이후 라이트

[神威太湖之光, Sunway TaihuLight]

중국에서 개발한 슈퍼컴퓨터로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를 집계하는 톱500(TOP500.org)이 2016년 6월 20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중국 우시 국가슈퍼컴퓨팅센터가 보유한 선웨이 타이후라이트 초당 9경3014조번 덧셈과 뺄셈을 하는 93페타플롭스(petaflops: 초당 1000조회 연산) 성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2015년 말까지 선두를 지키다 2위로 내려앉은 중국 광저우 국가컴퓨터센터가 보유한 ‘톈허(天河)-2’의 3배, 3위인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 타이탄의 5배에 이르는 성능이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중국이 슈퍼컴 성능을 좌우하는 코어(프로세서)를 자국산 제품을 사용해 세계 최고 성능의 슈퍼컴을 개발했다는 점이다. 중국산 프로세서를 쓴 슈퍼컴퓨터가 세계 1위 자리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중국이 슈퍼컴퓨팅 분야에서 처음 등장한 1995년 이후 11년 만이다.

중국 국방과학기술대가 개발한 톈허-2는 미국 인텔사의 프로세서를 가져다 썼다. 하지만 선웨이타이후라이트에는 상하이 고성능IC디자인센터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자국산 프로세서 ‘선웨이26010(SW26010)’ 1064만9600개가 들어갔다. 첨단 정보기술(IT) 분야에선 아직까지 ‘카피캣(copy cat·모방꾼)’이란 평가를 뒤집고 보기 좋게 ‘한방’을 날린 것이다.

중국은 중장기과학기술발전 계획을 내놓은 이후 1페타플롭스급 슈퍼컴 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왔다. 중국이 진행하는 대규모 과학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다. 베이징 상하이뿐 아니라 산둥성 등 경제 규모가 커진 지방에서도 바이오 의약, 해양산업, 농업, 제조업 분야에서 슈퍼컴을 활용하는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다.

중국 정부는 산업 효과가 큰 독자 개발에 집중하기로 하고 2003년 상하이에 고성능IC디자인센터를 설립하고 자체 프로세서 개발에 투자해왔다. 2011년에는 지난(濟南)에 세 번째 국가슈퍼컴퓨터센터를 설치하면서 아예 독자 개발한 프로세서와 운영 소프트웨어로 제작한 페타플롭스급 슈퍼컴퓨터를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개발했다.

이번 조사에서 중국은 슈퍼컴 숫자에서도 미국을 앞섰다. 톱500에 이름을 올린 중국 슈퍼컴퓨터는 모두 167대로 미국이 보유한 165대보다 2대 많았다. 세 번째로 슈퍼컴이 많은 일본은 총 29대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당분간 미국, 일본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국가전략컴퓨팅계획(NSCI)’ 수립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행정명령을 통해 10년 안에 1엑사플롭스(exaflops)급, 1초에 덧셈 뺄셈을 100경회 수행하는 컴퓨터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선웨이타이후라이트 수준의 슈퍼컴퓨터를 보유하려면 2018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관련어

  • 신용장 리파이낸스

    수출입은행이 개도국 금융기관에 대해 일정규모의 신용한도(Credit Line)를 설정하고 ...

  • 스카이코비원멀티주[SKYCovione]

    SK바이오사이언스가 미 워싱턴대와 공동으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코로나19 백신. 2...

  • 수출환어음

    수출업체가 선적 후 수입업체가 송금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수입업체 혹은 수입업체가 지정한...

  • 상생협력법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탈취를 근절하기 위해 ‘비밀유지계약 의무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