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대사공학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미생물의 유전자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사람이 컴퓨터로 원하는 생명체를 설계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나일론의 원료가 되는 다이아민 생산 균주와 플라스틱 원료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유산 생산 균주,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등이 개발됐다.
최근엔 비싼 석유를 대체할 값싼 차세대 바이오 연료인 부탄올을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해 주목 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식물 찌꺼기인 바이오매스에서 플라스틱 원료는 물론 휘발유 등의 연료 등 각종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의 유전자를 조작해 이들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세포 공장’이라 불리기도 한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가 창안한 분야로 세계경제포럼(WEF)이 선정한 ‘2016년 세계 10대 유망기술’에 선정되기도 했다.
-
신제품인증제도[New Excellent Product, NEP]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신기술 제품 중 성능과 품질이 탁월하고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제품...
-
세무조사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 세금을 포탈한 혐의가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는 강제조사를 말한다....
-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회사[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 SIFI]
2008년 파산한 리먼브러더스처럼 국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형 금융회사를 말한다...
-
선택적 레이저 소결 기술[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레이저를 이용한 3D프린팅 기술로 플라스틱은 물론 금속도 인쇄할 수 있다. 가루 형태의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