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스템대사공학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

미생물의 유전자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사람이 컴퓨터로 원하는 생명체를 설계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나일론의 원료가 되는 다이아민 생산 균주와 플라스틱 원료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유산 생산 균주,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 등이 개발됐다.

최근엔 비싼 석유를 대체할 값싼 차세대 바이오 연료인 부탄올을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해 주목 받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식물 찌꺼기인 바이오매스에서 플라스틱 원료는 물론 휘발유 등의 연료 등 각종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대장균과 같은 미생물의 유전자를 조작해 이들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세포 공장’이라 불리기도 한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가 창안한 분야로 세계경제포럼(WEF)이 선정한 ‘2016년 세계 10대 유망기술’에 선정되기도 했다.

  • 세계 전자정부 시장 포럼[World e-Government Mayors Forum]

    세계 주요 도시의 시장·대표들이 모여 정보기술(IT)을 활용한 행정 모델을 공유하고 도시 ...

  •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

    대기업이 협력사와 함께 원가 절감을 위한 공정 개선과 신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이 같은 ...

  • 생활대책용지

    신도시.택지개발예정지구 내에서 기존에 영업을 하거나 농축산업을 하던 생업종사자에게 생활대책...

  • 싱글 레벨 셀[single-level cell, SLC]

    셀 하나당 1개의 비트 밖에 저장할 수 없지만, 데이터 처리속도가 빠른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