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제너레이션

[WE generation]

10~20대에 해당하는 가장 젊은 소비자 그룹. 이들은 어려서부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사용하고, 음악을 다운로드해서 듣고, 스마트폰으로 문자를 보내고,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자라온 세대다.

이들은 대량생산된 제품보다는 고가의 수제 맥주, 고급 커피, 유기농 식품 등 개인의 독특하고 섬세한 취향을 반영하는 제품에 관심을 보인다. 위제너레이션을 다룬 책 《제너레이션 위(Generation WE)》의 저자인 그린버그와 웨버(2008)는 이들이 서로 연결돼 있고, 다양한 정치·사회·경제적 변화를 갈망하는 세대라고 말한다.이들의 특징은 어느 세대보다 경쟁심이 강하고 비즈니스 마인드가 높으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많고 협력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아랍의 봄’이나 미국 대선에서의 샌더스 열풍에서 볼 수 있듯이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회 변화에 대한 열망을 공유하는 가운데 실제적 변화를 주도한다. 자신의 의견을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글로벌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글로벌 관점에서 위제너레이션은 중국과 인도에만 4억명, 미국에 4000만명, 한국과 일본에 2000만명,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국에 3500만명 등의 청년 세대를 포함한다.

  • 역진성

    소득이 낮은 사람이 더 높은 세부담을 지는 것.

  • 유리벽[glass wall]

    여성이 기업의 핵심업무에서 차단되는 현상. 즉, 여성에게 임금과 승진가능성 가능성이 낮은 ...

  • 엔딩산업[ending industry]

    생전에 죽음을 능동적으로 준비하는데 관련된 산업. 상속 관련 법률 상담, 장례 내용과 규모...

  • 요람에서 무덤까지[from the cradle to the grave]

    영국의 경제학자 윌리엄 베버리지가 1942년 주창한 법안의 내용으로 현대 영국 사회보장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