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세조종

 

주가를 인위적으로 상승, 하락, 혹은 고정시키는 것으로 흔히 "작전"이라고 한다. 직접 거래에 참가하지 않더라도 거래를 시키거나 돕기만 해도 시세조종행위로 형사처벌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시세조정 목적''을 갖고 시세에 영향을 줘야 처벌이 가능했다. 하지만 2015년 7월 자본시장법의 개정에 따라 시세조정 목적이 인정되지 않아도 시장의 공정한 가격 형성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면 제재 대상이 된다.

  • 숏핑[Shortping]

    쇼핑(shopping)과 숏폼(short-form)의 합성어로, 짧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 서비스 수준협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

    IT 서비스 제공업체와 고객간에 맺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계약으로 협약을 통해 사전에 정의...

  • 식물공장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배양액 등의 환경 조건을 인공적으로 제어해 계절이나 ...

  • 소득세 최고세율

    개인사업자에게 적용하는 종합소득세 세율중 최고 높게 적용되는 세율. 개인사업자가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