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세조종

 

주가를 인위적으로 상승, 하락, 혹은 고정시키는 것으로 흔히 "작전"이라고 한다. 직접 거래에 참가하지 않더라도 거래를 시키거나 돕기만 해도 시세조종행위로 형사처벌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시세조정 목적''을 갖고 시세에 영향을 줘야 처벌이 가능했다. 하지만 2015년 7월 자본시장법의 개정에 따라 시세조정 목적이 인정되지 않아도 시장의 공정한 가격 형성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면 제재 대상이 된다.

관련어

  • 삼중전회[三中全會]

    3중전회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의 세 번째 회의를 말한다. 3중전회는 중국 공산...

  • 스캠 코인[scam coin]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투자자를 현혹시켜 투자금을 유치하는 행위를 `스캠'이라하고 이 때 발...

  • 슈퍼노트[super note]

    초정밀 100달러짜리 위폐를 말한다. 진짜 화폐와 똑같이 면섬유 75%와 마 25%로 만들...

  • 실거래가 상환제

    복지부가 정한 의약품의 상한가보다 병원이 더 싼 값에 제약사로부터 약을 구매하면 절감한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