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비자파산

 

빚이 많아 이를 갚다 보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사람에게 빚을 면제해주는 일종의 채무자 구제제도다. 소비자파산 신청이 들어오면 법원은 채무자의 재산상황을 조사한 뒤 현실적으로 갚을 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파산을 선고, 모든 빚을 탕감해준다. 파산자가 되면 은행 등으로부터 대출을 받을 수 없고 계좌도 개설할 수 없다. 또 신원증명서에 파산자로 기재되기 때문에 일반 기업체나 관공서 취업도 어려워진다. 하지만 파산선고를 받은 사람은 파산폐지 결정 후 1개월 이내에 면책을 신청할 수 있다. 법원이 허위진술 등 결격사유가 없다고 보고 면책결정을 내리면 복권돼 모든 권리는 원래대로 회복된다. 제로베이스 상태에서 새출발할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 수입 부가세 납부 유예

    수출 중소기업에 한해 수입 시 세관에 납부하는 부가세를 세무서에 신고할 때까지 유예해주는 ...

  • 세입[revenue]

    정부가 나라 살림을 위하여 마련하는 모든 수입을 세입이라 하며 재정통계에서는 세입을 크게 ...

  • 수출입물가지수[export and import price index]

    수출입상품의 가격동향을 파악하고 그 가격변동이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측정하기 위...

  • 스페셜 301조 보고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통상법에 따라 주요 교역국의 지재권 보호와 집행 현황을 검토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