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터족
영어의 `자유로움''을 뜻하는 프리(free)와 독어의 ''노동자''를 뜻하는 ''아르바이터''(arbeiter)를 합성한 일본의 신조어. 1987년 일본의 구인잡지인 리크루트에서 능력이 됨에도 불구하고 직업을 갖지 않고 평생 아르바이트만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회인 아르바이터''를 지칭하면서 처음 사용됐다.
이후 일본의 버블경기가 붕괴되고 경기침체가 시작된 2000년부터 그 뜻이 15-34세 사람들 중정규직업을 갖지 못했거나 실업자인 사람을 뜻하는 말로 변하게 됐다.
한국에서 프리터의 개념은 시간제·파견·용역·재택 노동자로 일하는 비정규직이나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준비자들이 여기에 속한다.
한편 "프리터족"이란 프리터(freeter)에 `같은 부류''를 뜻한는 한자인 족(族)을 다시 한국에서 덧붙여 만든 것이다.
-
피어볼라[fearbola]
공포(Fear)와 에볼라(Ebola)를 결합한 용어로 에볼라에 대한 지나친 공포감을 말한다...
-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
서류 형태로만 존재하면서 회사기능을 수행하는 회사를 가리킨다. 주로 사업활동에서 나오는 소...
-
퍼스널 쇼퍼[personal shopper]
VIP 고객이 보다 편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백화점에서 마련한 전문 쇼핑 도우미. 고객과 ...
-
페이고원칙[Pay as you go, PAYGO]
pay as you go란 문장은 "현금으로 지불하다", "지출을 수입 안에 억제하다"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