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준이율

 

생명보험사들이 고객들에게 장차 보험금을 돌려주기 위해 쌓아 놓는 ''표준책임준비금''에 적용하는 이율을 말한다. 보험사들은 각 보험상품의 예정이율(보험사가 고객 보험료에 지급하는 이자율로 은행 예금금리와 비슷함)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지만, 책임준비금에 사용되는 이율은 감독당국(금융감독원)이 최고한도를 정한다. 표준이율이 내려가면 보험사는 책임준비금을 많이 쌓아야 한다. 만약 금감원이 요구하는 책임준비금을 쌓지 못하면 그 만큼 손실로 잡히게 된다. 따라서 보험사들은 적자부담을 줄이기 위해 예정이율을 인하한다. 2001년 보험료 자율화 후 보험사 간 과당 경쟁 및 재무건전성 악화를 막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매년 4월 안전계수, 시장금리 등을 반영해 0.25%포인트 단위로 조정한다.

  • 파력발전[波力發電, wave power generation]

    바다에 부표나 실린더를 띄워 놓고 파도의 상하운동을 피스톤 운동으로 바꿔 공기 터빈을 돌리...

  • 피크 아웃[peak out]

    영어인 피크아웃 (peak out)은 '정점을 찍고 하락 기미를 보인다'는 뜻이다. ...

  • 피코셀[picocell]

    롱텀에볼루션(LTE) 소형 기지국. 피코셀은 반경 100~200m에 있는 200명 내외의 ...

  •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계절에 맞춰 1년에 네 번 제품을 기획하는 일반 패션 브랜드와 달리 최신 트렌드와 소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