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비자단체 공표권

 

소비자단체 공표권이란, 소비자단체가 물품이나 서비스에 하자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언론 등을 통해 일반에 공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는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소비자기본법(구 소비자보호법)에 근거해 규정되어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소비자단체는 1)사업자가 소비자보호법이나 기타 법률을 위반한 경우, 2)소비자단체가 특정 물품이나 용역의 규격, 품질, 가격 등의 조건을 유사제품과 비교검사한 경우(단, 검사에 전문설비가 필요한 것은 제외되며 검사절차에 객관성이 있을 것), 3)전문설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한국소비자원 또는 국가가 지정한 공인 검사기관의 검사를 거친 경우에 한해 공표가 가능하다.

소비자단체가 공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면 소비자의 권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확대하면 조사 결과의 남발로 인한 사업자와 소비자의 피해 가능성도 커진다.

  • 수당

    기본급이 정상적인 근로조건 하에서의 노동의 대가라면 수당은 기본급에 덧붙여서 근무조건이나 ...

  • 스텔스 세금[stealth tax]

    레이더에 포착돼지 않는 스텟스 전투기 이름에서 따온 말로 납세자들이 세금을 내고 있다는 사...

  • 셀프산업

    소비자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만들거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경제효과를 거두는 비즈니...

  • 수재무증기설비

    고로에서 쇳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슬래그를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할 때 발생하는 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