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비자단체소송제

 

소액의 제품을 구매한 후 피해를 본 다수의 소비자들 개개인이 직접 해당 기업에 소송을 제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단체가 이를 묶어 일괄적으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어린이 안전 위협 제품이나 독소 조항을 담은 약관 등에 대해 판매 금지나 내용 수정 등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는 제도이다. 소비자단체는 개별 피해사례들을 모아 제조회사를 상대로 단체소송을 제기해 해당 제품의 판매를 금지시킬 수 있다. 다만, 사업자의 자율적 시정을 위해 냉각기간으로 14일이 설정된다. 몇몇 개인들 만으로도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집단소송제보다 한 단계 낮은 제도지만, 유해제품의 판매 금지나 약관 수정 등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는 모든 행위를 소송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약자인 소비자들에게 힘이 될 수 있다.

  • 사전담보제도

    사전담보제도는 중앙은행이 각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금액의 유동성이 높은 유가증권을 사전에 ...

  • 심리도

    시장분위기에 있어 심리적인 과열 및 침체상태를 찾기 위한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심리도가 7...

  •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

    제재 대상 국가와 거래한 제3국 기업들을 일괄 제재하는 것을 말한다. "제3자 제재"라고도...

  • 생존자권[survivorship]

    자산에 관심이 있는 다른 사람보다 더 오래 생존하였다는 이유에 의해서 자산에 대한 권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