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자보상배율

 

이처럼 한 해 동안 기업이 벌어들인 돈(영업이익)이 그 해에 갚아야 할 이자(이자비용)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나눠 구한다.

따라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다는 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한다는 의미다. 보통 이자보상배율이 1.5 이상이면 빚을 갚을 능력이 충분한 것으로, 1 미만이면 잠재적인 부실기업으로 본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을 좀비 기업(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3년 연속 이자조차 갚지 못할 정도라면 자체적인 생존능력이 없다고 보는 것이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돈을 벌기는커녕 손해를 보고 있다면(영업손실을 입었다면) 이자보상배율은 마이너스(-)가 된다.

  • 야간뇨

    소변을 보기 위해 잠에서 깨는 증상. 국내 60대 성인의 절반 이상이 야간뇨로 인해 수면에...

  • 워터마킹[watermarking]

    워터마킹은 디지털 미디어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워터마크는 로고, 텍스트,...

  • 우주왕복선[space shuttle]

    우주와 지구 사이를 왕복하는 비행기 형태의 우주탐사선을 뜻한다. 기존 일회용 우주선보다 많...

  • 이익사채[income bond]

    기업의 이익이 부족한 경우에는 정액의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채무불이행이 되지 않는다는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