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자보상배율

 

이처럼 한 해 동안 기업이 벌어들인 돈(영업이익)이 그 해에 갚아야 할 이자(이자비용)에 비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나눠 구한다.

따라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다는 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한다는 의미다. 보통 이자보상배율이 1.5 이상이면 빚을 갚을 능력이 충분한 것으로, 1 미만이면 잠재적인 부실기업으로 본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을 좀비 기업(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3년 연속 이자조차 갚지 못할 정도라면 자체적인 생존능력이 없다고 보는 것이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돈을 벌기는커녕 손해를 보고 있다면(영업손실을 입었다면) 이자보상배율은 마이너스(-)가 된다.

  • 용도지역제

    토지의 이용과 건축물의 용도,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하기 위해 책정해놓은 구역을 ...

  • 월드 랠리 챔피언십[World Rally Championship, WRC]

    전세계를 무대로 열리는 자동차 경주대회. 국제자동차연맹(FIA)이 주관하고 있으며 1991...

  • 암호화폐 회계기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는 금융상품이나 화폐가 아니라 무형·재고자산 비트코인...

  • 이전가격 사전합의제도[advanced pricing agreement, APA]

    이전가격 사전합의제도는 미국 국세청이 현지 외국기업의 이전가격을 임의로 조사하기 전에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