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비성향

[propensity to consume]

케인스가 1936년 발표한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제시한 개념이다. 실질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비성향이 1일 경우 벌어들인 소득을 전부 소비한다는 의미이고, 소비성향이 0이면 소득액의 전부를 저축한다는 뜻이다. 한편 저축성향은 실질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율로 저축성향이 1인 경우는 소득의 전부를 저축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소비성향이 높으면 그만큼 저축성향은 낮아지게 된다. 소비성향과 저축성향의 합은 언제나 1이다.

  • 실질금리

    물가상승을 감안한 이자율을 말한다.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 투자자는 실질...

  • 실리콘 힐스[Silicon Hills]

    텍사스주 오스틴을 가리키는 말로 미국 캘리포니아의 실리콘 밸리에 대응해 만들어진 말이다. ...

  • 사우스브리지[southbridge]

    PC 메인보드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셋으로 데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한다. ...

  • 실적장세

    경기 전체 또는 각 기업의 실적이 주가를 끌어올리는 증시상황을 말한다. 업적장세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