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비성향

[propensity to consume]

케인스가 1936년 발표한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제시한 개념이다. 실질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비성향이 1일 경우 벌어들인 소득을 전부 소비한다는 의미이고, 소비성향이 0이면 소득액의 전부를 저축한다는 뜻이다. 한편 저축성향은 실질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율로 저축성향이 1인 경우는 소득의 전부를 저축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소비성향이 높으면 그만큼 저축성향은 낮아지게 된다. 소비성향과 저축성향의 합은 언제나 1이다.

  • 상시구조조정

    말 그대로 상시적으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시적인 기업구조조정체제가 구축되...

  • 서별관 회의

    거시금융 점검회의의 별칭으로 주요 경제·금융 현안을 논의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자리다. 부총...

  • 스포슈머[sposumer]

    스포츠(Sports)와 소비자(Consumer)를 결합한 용어로 스포츠 활동에 적극적인 소...

  • 선도주[market leader]

    주식시장 전반의 장세를 이끄는 주식 또는 같은 업종의 주식 중에서 다른 종목보다 먼저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