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차등수가제

 

의사의 하루 진료건수를 제한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불이익을 줌으로써 진료의 질을 유지하려는 제도. 의사 1명이 하루에 75건 넘게 진찰할 경우 국민건강보험이 진찰료 등의 수가를 초과분에 대해 차감한다.

이를 통해서 의료서비스의 질적 개선효과 및 적정진료를 통한 적정 요양급여비용 제공으로 건강보험의 재정절감 효과를 꾀하기 위해 2001년 도입되어 의원급에 한정돼 시행됐다.

그러나 차등수가제가 진료의 질을 높였다고 보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병원 이외에 의원급에만 적용되는 형평성 문제 등이 꾸준히 지적되자 2015년 10월 2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는 2015년 12월부터 차등수가제를 폐지하기로 했다.

관련어

  • 취업성공패키지

    고용노동부의 저소득 취업취약계층(18-64세) 취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2009년 시작됐다....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은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사업으로, ...

  •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공동기금

    한·중·일 3국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이 글로벌 유동성부족 사태에 공동 대처하기...

  • 초과지급준비금[excess reserves]

    실제 보유 지급준비금에서 필요 지급준비금을 차감한 것이다. 승인받은 예금은행에 예치되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