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능형 기가 인프라

[Intelligent GiGA Infra]

최첨단 관제, 클라우드, 빅 데이터 등을 결합해 이용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2015년 9월 23일 KT가 2020년까지 미래 융합사업에 13조원을 투자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겠다며 밝힌 발전안에 처음 소개됐다.
황 회장은 “미래의 인프라는 속도, 용량, 연결을 뛰어넘는 가치를 가져야 한다”며 “인프라에 똑똑한 지능형 기능을 부가하면 더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능형 기가 인프라의 예로 ‘위즈 스틱’을 소개했다. 위즈 스틱은 통신망 접속 단계에서 원천적으로 해킹 위협을 막아준다. 스틱을 PC나 노트북에 꽂은 뒤 지문 인식 절차를 거치면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 없이 안전하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KT는 2015년 말 이 서비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기업에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기가오피스''''나 휴대형 보안 플랫폼 ''''위즈 스틱'''' 등이 그 예다.

  • 전손[total loss]

    해상보험의 목적물인 선박이나 화물이 침몰 등에 의한 위험으로 전부 없어졌거나 피해가 너무 ...

  • 직계존속

    직계비속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부모·조부모와 같이 본인을 출산하도록 한 친족

  • 재정보강

    기금이나 정책금융 확대, 세제 지원 등을 통해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안. 추경과 달리 국회 ...

  • 직렬 ATA[Serial AT attachment, SATA]

    직렬 ATA 인터페이스라고도 하며 HDD, DVD, CD-RW 등의 접속 규격으로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