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핵융합발전

[Nuclear fusion power generation]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지상에서 일으켜 전기에너지를 얻는 기술이다. 핵융합이 에너지를 발생하는 원리는 핵분열과 정반대다. 태양처럼 1억도가 넘는 온도와 높은 압력에서는 수소 원자핵이 서로 융합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뀐다. 이때 줄어드는 질량만큼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이다. 원자력 발전의 핵분열 기술과 달리 방사능 노출 위험이 적은 것도 특징이다.핵융합은 핵분열보다 더 안전하기 때문에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찬성론자들은 말한다.

바닷물에 풍부하게 함유된 중수소와 리튬에서 얻는 삼중수소를 원료로 사용한다. 원료를 쉽게 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성도 다른 에너지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론상 화력발전이 300만t의 석탄을 이용해 만드는 에너지를 100㎏의 중수소와 3t의 리튬만으로 생산할 수 있다. 핵융합 연료 1g으로 석유 8t에 해당하는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욕조 2분의 1 분량의 바닷물에서 추출할 수 있는 중수소와 노트북 배터리 하나에 들어가는 리튬양만으로 한 사람이 3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기까진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핵융합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보다 투입되는 에너지가 더 많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핵융합 에너지 회의론자들은 핵융합 기술의 상업화는 수십 년 뒤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다.

최근엔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기 시작했다. 핵융합 기술 개발 주도권이 정부에서 민간으로 넘어가면서 상용화 가능 시점이 앞당겨졌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앤드루 홀랜드 핵융합산업협회장은 “핵융합 기업들은 2030년대에 핵융합 발전을 상업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경수 ITER 신임 사무차장 "땅위의 인공태양 ITER, 11월 새 청사진 낼 것"

    바닷물 한 바가지로 석유 300L의 에너지를 얻겠다는 불가능해 보이는 과학 프로젝트가 있다. 2040~2050년대 상용화를 목표로 한국과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7개국이 공동으로 ‘땅 위에 인공 태양’을 짓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사업이다. 수소 원자핵끼리 합쳐지면서 내뿜는 열로 에너지를 생성하는 핵융합은 바닷물에 풍부한 중수소와 리튬(삼중수소)을 연료로 사용하고 온실가스가 배출될 염려가 없어 ‘꿈의 에너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2019년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건설이 예정보다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돈 먹는 하마’라는 지적도 있다. 지난 1일 ITER 국제기구 기술총괄 사무차장에 선출된 이경수 전 국가핵융합연구소장(59·사진)은 베르나르 비고 사무총장과 함께 최근 ITER사업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인물로 떠올랐다. 앞으로 5년간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의 ITER 국제기구에 파견돼 ITER 건설의 기술 총책임을 맡는다. 이 사무차장은 30년 간 핵융합 연구에 몸담아 온 전문가로,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건설을 주도했다. ○“11월쯤 ITER 완공 새 계획” 이 사무차장은 “지금도 값싼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데 굳이 왜 핵융합을 연구하느냐는 시선이 있다”며 “하지만 지금의 에너지 상황이 낙관적이라고 미래 세대를 위해 대비하지 않는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핵융합이 허황된 연구라는 지적을 들을 때마다 1961년 달 정복 계획을 밝힌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연설을 떠올린다고 했다. 이 사무차장은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 이후 8년 만에 실제 인류는 달을 밟았다”며 “핵융합 역시 기술이 아니라 정책 결정과 투자의 문제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업 초기 각국 이해에 따라 주요 사안이 결정되면서 건설 기간과 사업비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라며 “올해 11월쯤 지연된 상황을 반영해 ITER사업 기간과 사업비를 조정한 새로운 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했다. ITER사업에 대한 회의론이 있지만 핵융합에 대한 각국의 투자는 줄지 않고 있다. EU는 전체 ITER 사업비의 45%를 대고 있고, 미국은 ITER과 별도로 핵융합 연구에 투자하고 있다. 한국도 2007년 ITER과 같은 토카막 기술을 적용한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완공한 데 이어 ITER에 경험이 풍부한 인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 사무차장은 ‘ITER 지분이 많은 유럽이 앞으로 핵융합의 혜택을 가져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ITER의 핵심 부품은 한국 기업이 공급하는 경우가 많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실제 현대중공업은 플라스마 진공용기를, 고려제강은 초전도 도체를, SFA는 극저온 열차폐체를 공급하는 등 ITER 장치 제작의 핵심 역할을 한국 기업들이 맡고 있다. ○“中 핵융합 최대 수혜국 될 듯” 이 사무차장은 중국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ITER사업에 참여하는 것과는 별개로 훨씬 큰 중국핵융합공정실험로(CFETR)를 짓고 있다. 중국 정부는 EU가 2050년 이전에 핵융합 발전을 실현한다는 계획보다 10년 앞서 핵융합을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 사무차장은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최대 수혜국이 중국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특히 “싸지만 성능이 뛰어난 중국 제품을 ‘대륙의 실수’라고 부르는 것처럼 핵융합에서도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한국이 기술을 개발하고, 중국이 상용화의 열매를 따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사무차장은 “핵융합 주도권을 유지하려면 연구 성과를 많이 내야 한다”며 “KSTAR과 ITER보다 극한 기술이 필요한 한국형 핵융합실증로(K-DEMO)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 핵융합 발전 태양처럼 1억도가 넘는 온도에서는 수소 원자핵이 서로 융합해 무거운 헬륨 원자핵으로 바뀐다. 이때 줄어드는 질량만큼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이다. 이론상 일반 수소보다 무거운 중수소와 삼중수소 혼합 원료 500g으로 고리원전과 같은 50만㎾급 발전소 4기를 하루 동안 가동할 수 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2015-09-21
  • 호들러[hodler]

    암호화폐 장기투자자를 말한다. (암호화폐를) `보유한다'라는 뜻의 영어단어인 hold...

  • 화이트 박스[White Box]

    중국업체들이 상표없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만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저가형 태블릿PC

  • 호모 헌드레드 시대[homo hundred]

    인간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의미하는 말이다. 유엔이 2009년 내놓은 ‘세계인구 고령화...

  • 한방병원 인증제

    정부가 전국 203개 한방병원(30병상 이상인 한의원)을 대상으로 환자 진료 시스템과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