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셀프산업

 

소비자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만들거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경제효과를 거두는 비즈니스. 좁은 의미에서의 DIY(do it yourself)는 반제품 상태의 부품을 구입해 직접 조립 제작하는 창조적인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선 ‘셀프 세차’, ‘셀프주유소’, ‘DIY페인트’ 등 스스로 만들거나 손수 하는 작업을 통해 여가를 선용하고 땀흘리는 재미를 느끼면서 돈도 버는 경제행위를 뜻한다. 미국에선 1950년대, 일본에선 1976년부터 셀프 비즈니스가 선보이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부터 DIY상품이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셀프산업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 삼성 딜라이트[SAMSUNG d’light]

    2008년 12월 개관한 삼성전자의 대표적 브랜드 체험관으로 서울 강남역 인근에 있다. ...

  • 순조정처분가능소득

    순처분가능소득에 사회적 현물이전순수취액을 더한 값.

  • 선물계약[futures contract]

    고정된 미래날짜(결제일)에 미리 정한 가격(선물가격)으로 특정양의 상품 또는 재무증서를 사...

  • 시장점유율[market share]

    특정 상품이 일정기간 동안에 판매액 내지 판매 수량이 그 시장에 있어서 자기를 포함한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