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셀프산업

 

소비자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만들거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경제효과를 거두는 비즈니스. 좁은 의미에서의 DIY(do it yourself)는 반제품 상태의 부품을 구입해 직접 조립 제작하는 창조적인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선 ‘셀프 세차’, ‘셀프주유소’, ‘DIY페인트’ 등 스스로 만들거나 손수 하는 작업을 통해 여가를 선용하고 땀흘리는 재미를 느끼면서 돈도 버는 경제행위를 뜻한다. 미국에선 1950년대, 일본에선 1976년부터 셀프 비즈니스가 선보이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부터 DIY상품이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셀프산업이 자리잡기 시작했다.

  • 스티키 인플레이션[sticky inflation]

    한번 오른 물가가 고착화되어 쉽게 내려가지 않는 현상. "Sticky" (끈적하다)와...

  • 스텔스 세금[stealth tax]

    레이더에 포착돼지 않는 스텟스 전투기 이름에서 따온 말로 납세자들이 세금을 내고 있다는 사...

  • 실속형 가치소비

    ‘가격에 비해 우수한 가치를 제공하는 상품을 선호하는 소비경향’을 일컫는 말. LG경제연구...

  • 세이의 법칙[Say’s Law]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여 국민총수요가 항상 총공급과 일치하게 된다는 법칙이다. 즉, 어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