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녹조

[綠藻, 水花, water bloom]

호수나 하천에서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인 조류의 일종. 개체 수가 크게 늘어나면 물빛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데 영어로는 ‘water bloom(물꽃)’, 일본어로는 ‘미즈노 하나(水の華)’라고 한다. 우리나라 학계는 이를 번역해 물꽃현상 또는 수화현상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바닷물이 붉게 물드는 ‘적조(赤潮)현상’과 대비해 강이나 호수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녹조현상이라 부르기 시작했고, 지금은 일반에 쉽게 이해되는 용어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시스티스 등 일부 녹조류(남조류)는 인체에 해를 끼치는 독성물질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조류독소는 정수처리를 거치며 완전히 제거되는 만큼 먹는 물의 안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 내재가치[intrinsic value]

    기업의 내재가치는 현재의 순자산액을 나타내는 자산가치와 장래의 수익력을 평가한 수익가치를 ...

  • 납세자 권리헌장

    납세자의 권익을 법으로 보장하기 위한 헌장. 국세청이 1997년 7월1일 제정, 고시했다....

  • 낙찰가율

    감정가격 대비 낙찰가격의 비율.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서면 낙찰된 물건의 입찰 가격이 ...

  • 네트워킹[networking]

    네트워크 방송을 위해 서로 결합된 프로그램과 TV 또는 라디오 방송국. 방송국들은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