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무조사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 세금을 포탈한 혐의가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는 강제조사를 말한다. 조세범처벌법에 근거해 실시되기 때문에 ‘조세범칙조사’라고도 한다. 이 조사로 세금탈루 등 부정행위가 드러나면 탈루세액 추징은 물론 벌과금이 부과되거나 고발조치되는 등 형사처벌이 가해진다. 일반 세무조사나 부동산 투기조사 등 특별조사는 세금추징에 그치는 데 반해 세무사찰은 형사처벌이 추가된다는 점에서 가장 강한 세무조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조사착수도 불시에 이루어지며 검찰로부터 특별사법경찰권을 부여받은 세무공무원들이 압수수색 등을 통해 필요한 장부나 증거서류를 확보, 조사를 실시한다.

  • 시니어 마켓[senior market]

    노인 관련 상품 시장.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급속히 커지고 있는 시장이다. 의약...

  • 상시구조조정

    말 그대로 상시적으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시적인 기업구조조정체제가 구축되...

  • 세출불용액

    세출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1년간 방위비, 경제 개발비, 사회개발비, 교육비, 일반행정...

  • 소득정산제도

    소득정산제도는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를 국세청에서 확정된 소득 기준으로 재산정해 차액을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