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프레이밍 효과

[framing effect]

질문이나 문제 제시 방법(틀)에 따라 사람들의 선택이나 판단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특정 사안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환자의 수술 생존율이 70%인 경우 의사가 내놓을 수 있는 답변은 두 가지다. 첫째는 사망률이 30%라는 점이고, 둘째는 성공률이 70%라는 답변이다. 둘 모두 결과는 같지만 어느 쪽에 돋보기를 두느냐에 따라 해석이 정반대로 바뀔 수 있다는 얘기다.

경제문제에서도 이 현상은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한 투자자가 두 곳의 금융회사에서 보수적, 중립적, 공격적 특성의 세 가지 펀드 중 하나를 골라 투자해야 할 경우를 가정해보자. 의외로 많은 투자자가 내용보다 선택지를 묘사하는 표현을 보고 펀드를 선택한다. 특히 ‘중립적’이란 선택지에 많은 투자자가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문제는 금융회사들이 중립적이란 말을 다르게 해석한다는 데 있다. A금융회사는 보수적, 중립적, 공격적 펀드의 위험자산 편입 비중을 0%, 40%, 80%로, B금융회사는 40%, 70%, 100%로 잡고 있을 수 있다. 금융회사 두 곳에서 모두 중립적 펀드를 고른 투자자는 위험자산 40%와 70%가 포함된 전혀 다른 특성의 펀드를 선택한 셈이다. 금융회사가 제시하는 프레임을 신중하게 살피지 못하면 의도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관련어

  •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

    수산물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수산물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야기하는 현상을 ...

  • 파생결합사채[ELB·DLB]

    파생결합증권(ELS·DLS) 중에서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따로 분리한 형태다. 기초자산...

  • 팻 겔싱어[Pat Gelsinger]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인텔의 전설적인 엔지니어이자 CEO. 1961년 3월 5일 출생...

  • 표본추출[sampling]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체 대상인 모집단(population)을 설정하고 부터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