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목선이수제
[advanced placement, AP]대학 과정을 고등학교에서 미리 듣는 제도를 뜻한다.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감안해 선택할 수 있다.
AP는 미국의 비영리 교육기관인 대학위원회(College Board)가 1955년 처음 시작했다. AP 수업은 주로 고등학교에서 이뤄진다. 대신 대학위원회가 1년에 한 번(5월) 미국 전역의 고교생을 대상으로 AP 시험을 보고 학점을 부여한다. 학생들이 받은 학점은 대학 입시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미국 대학들은 대학입학자격시험(SAT) 성적을 자격 기준으로 활용하고 지원자의 AP 과목 이수 여부와 성적, 면접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학생을 선발한다.
미국에선 주요 명문대학이 무크(MOOC;온라인공개강좌)를 기반으로 AP 강의를 앞다퉈 내놓고 있다. 미국의 무크 서비스 에드엑스(edX)는 2014년 10월 라이스대의 생물학 AP 수업을 시작으로 19개 강의를 온라인에 공개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 코넬대 UC버클리 등이 개설한 28개 강의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오프라인 교실에서 AP 수업을 진행할 때는 참여 학생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지만 무크 강의를 개설하면서 원하는 학생은 누구나 AP 강의를 들을 수 있다.
관련어
-
담보부사채[mortgage bond]
기업체가 회사채의 원리금을 보장하기 위하여 부동산 등의 담보물을 신탁회사에 맡기고 이를 근...
-
당좌대출[overdrafts]
은행과 당좌거래를 하고 있는 업체가 예금잔액을 초과해 일정 한도까지 어음이나 수표를 발행하...
-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BS]
일정 시점에서 기업의 재무상태, 즉 자산·부채 및 자본의 내용을 수록한 표다. 대차대조표는...
-
동기조사[motivational research]
소비자의 구매 이면의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사람들의 행동이나 구매의 특징을 심리학적인 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