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특별감찰관제

 

대통령 측근 및 친인척의 비리를 감시하기 위한 제도로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4년 신설했다.

감찰 대상을 대통령의 배우자 및 4촌 이내의 친족, 대통령 비서실의 수석비서관 이상의 공무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동안 특별감찰관을 임명하지 않았다.


2022년 5월 30일 대통령실은 특별감찰관제도를 전면 재검토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특별감찰관 제도를 포함해 권력형 비리를 발본색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이 핵심 관계자는 특별감찰관제를 재검토하는 이유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과 민정수석실 폐지, 대통령실의 사정 컨트롤타워 기능 폐지 등 전반적인 여건이 이전 정권과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통계학[statistics]

    수학의 한 부분으로 사회현상을 데이터 분석에 의해 관찰, 연구하는 학문. 통계학은 집단에 ...

  • 통화전쟁[currency war]

    각국이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쟁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자국 통화가치 하락(평가절하...

  • [tick]

    선물거래에서의 최소한의 가격변동폭을 말한다. 선물거래소마다 상품별로 크기가 표준화되어 있다...

  • 테크노마트[Technomart]

    기술 자체가 하나의 상품으로 취급되면서 기술을 팔고 사려는 수요자와 구매자를 일정 기간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