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물환거래 실수요증명제

 

실제 필요한 만큼만 선물환거래를 허용하는 것.
선물환거래란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기간 후에 어떤 통화를 일정한 값에 사거나 팔기로하는 것인데 그 거래규모를 실제수요만큼으로 제한한다는 의미이다. 3개월 후에 1만달러를 수출대금으로 받아 원화로 바꿔야 하는 사람을 예로 들면 이 사람이 환차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환율로 3개월후에 1만달러를 파는 선물환 계약을 맺어 두어야 한다. 그 경우 이 사람은 수출대금 1만달러의 환차손 회피를 목적으로 선물환거래를 한다는 것을 거래은행에 반드시 증명해야 한다. 환투기 등을 막기 위해 선물환거래 규모를 규제하는 것이다.

  • 실물자산[real assets, non-financial assets]

    금융자산을 제외한 자산으로 건물 토지 등의 부동산과 도로, 자동차 등 운송장비, 기계류, ...

  • 사우스브리지[southbridge]

    PC 메인보드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셋으로 데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한다. ...

  • 상하이 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중국·러시아가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정치·경제·안보 협의체로, 중국·러시아를 포함해 ...

  • 스테이킹[staking]

    은행 정기예금처럼 암호화폐를 거래소나 수탁업체에 맡기고 이자로 암호화폐를 받는 ‘코인 예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