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반달리즘

[vandalism]

문화·예술 및 공공 시설을 파괴하는 만행을 말한다. 5세기 유럽의 민족 대이동 때 북아프리카 반달족이 지중해 연안과 로마를 무자비하게 파괴했다는 헛소문에서 유래한 말이다. 18세기 프랑스의 한 주교가 혁명 당시 자코뱅당의 파괴활동을 반달족의 범죄행위에 빗대면서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

반달족이 들었다면 무척 억울했을 법하다. 사실 그들은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잘 받아들였기에 국가유산을 파괴하지 않았다고 한다. ‘도시를 파괴하지 말라’는 로마 교황의 당부에도 순응했다. 후대 역사가들 역시 반달족이 악행을 저지르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렇거나 말거나 한 번 새겨진 주홍글씨는 좀체 지워지지 않는다. 심지어 기원전 4세기 그리스인이 파르테논 신전보다 두 배 큰 아르테미스 신전에 불을 지른 사건까지도 반달리즘의 시초라고 말한다. 미국이나 유럽 대도시에서 약탈과 살인, 공공시설 파괴, 방화 등 범죄가 급증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도 사용한다.

관련어

  • 베어 스티프닝[bear steepening]

    장기채 금리가 단기채 금리보다 더 빨리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채권 시장에서는 금리...

  • 범핑 기술

    가장 작은 반도체 패키지를 만드는 마이크로 기술로 기존의 골드와이어를 이용한 리드프레임 방...

  • 바이비트[Bybit]

    바이비트(Bybit)는 2018년 3월에 설립된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이다. 본사는 두바...

  • 뱅보드차트[bank board chart]

    뱅보드차트란 은행을 뜻하는 ‘뱅크(bank)’와 미국의 음악 순위 차트인 ‘빌보드차트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