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물시장의 구성

 

파생금융상품의 핵을 이루는 선물(futures)거래는 선도(forward)거래와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 두 가지 모두 미래의 거래가격을 현시점에서 약정한다는 기본원리는 같지만 거래형태와 체제는 완전히 다르다.

선물거래의 가장 큰 특징은 당사자간의 사적 계약 형태인 선도거래와 달리 정형화된 거래소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거래가 이뤄진다는것. 선물시장의 참가자, 거래형태 및 호가 시스템 등 선물시장의 세계를 들여다 보자. 참가자는 선물중개업자, 장내중개인, 장내 거래자 및 투자자로 구분된다. 선물중개업자는 고객으로부터 선물계약 매매주문을 받아 이를 장내중개인이나 장내거래자에게 건네주는 업무를 한다. 장내중개인(floor broker)은 거래소 회원으로서 장내에서 자신의 포지션 보유(자기계정에의한 매입 또는 매각)없이 고객거래를 대신해주며 그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다. 장내중개인은 청산소(거래의 청산 및 사후결제 담당)와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청산소 회원과 이들을 통해서 거래를 청산하는 비청산소 회원으로 나뉜다.

장내거래자(floor trader)는 고객의 거래를 중개할 뿐만이 아니라 단기가격변동을 이용한 이익실현을 위해 자기계정에 의한 직접거래도할 수 있다. 이들이 계속적인 매매거래를 함으로써 시장조성자의 역할을 한다. 직접거래는물론 중개도 하기 때문에 이들을 이중(dual)거래자라 부른다. 그 다음이 일반투자자다. 이들이 선물계약의 최종수요자와 공급자들이다.

  • 스텝다운 랩[step-down wrap]

    고객과 합의 하에 운용수익률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단계별로 주식편입비율을 낮춰 안정적으로...

  • 싱글 레벨 셀[single-level cell, SLC]

    셀 하나당 1개의 비트 밖에 저장할 수 없지만, 데이터 처리속도가 빠른 기술.

  • 사잇돌대출

    신용등급 4~10등급의 중·저신용자 중 상환 능력이 있는 근로자(재직 6개월 이상, 연소득...

  • 신용사면

    금융기관 또는 정부가 실행하는 조치로, 신용 정보에 기록된 연체, 파산, 채무 불이행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