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복지 관광

[welfare tourism]

서유럽 국가로 이주한 뒤 일정한 직업 없이 실업급여 등 각종 복지 혜택만 누리는 동유럽 국가 국민의 행태를 비난해서 부르는 말.
EU 회원국은 1985년 체결된 솅겐조약에 따라 각국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거주할 수 있게 된 이후 많은 수의 동유럽국민들이 생활수준이 높은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서유럽국가로 이주하게 됐다. 출산율이 낮은 서유럽 국가에 젊은 노동인구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경제 성장의 원동력 역할을 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 재정위기를 거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민자들에 대한 복지 부담이 늘어나면서 재정 악화가 가속화돼면서 급기야는 영국을 중심으로 이민자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 분권화[decentralization]

    조직의 몇 개 지역에서 행해지는 본질적인 의사결정과 정책공식화.이의 목적은 의사결정의 결과...

  • 블록체인[blockchain security technology]

    온라인 금융이나 가상화폐 거래에서 해킹을 막는 기술. 기존 금융회사들은 중앙 서버에 거래기...

  • 백신 여권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 각국 정부가 상호 인증하는 문서를 발급해주고 해외출입국이나 공공장소...

  • 부동주[floating stock]

    단기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매매거래 때문에 매매유통되는횟수가 빈번한 주식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