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복지 관광

[welfare tourism]

서유럽 국가로 이주한 뒤 일정한 직업 없이 실업급여 등 각종 복지 혜택만 누리는 동유럽 국가 국민의 행태를 비난해서 부르는 말.
EU 회원국은 1985년 체결된 솅겐조약에 따라 각국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거주할 수 있게 된 이후 많은 수의 동유럽국민들이 생활수준이 높은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의 서유럽국가로 이주하게 됐다. 출산율이 낮은 서유럽 국가에 젊은 노동인구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경제 성장의 원동력 역할을 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 재정위기를 거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민자들에 대한 복지 부담이 늘어나면서 재정 악화가 가속화돼면서 급기야는 영국을 중심으로 이민자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 불화수소[Hydrogen fluoride, HF]

    불산플루오르화수소. 독성이 강한 부식성 기체로서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회로의 패턴을 형성하...

  • 보복관세[retaliatory tax]

    외국이 자국에 불이익이 되는 조처를 취했을 때 이에 대응해 해당 국가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

  • 베타[β]

    개별 기업의 투자민감도를 뜻하는 용어로 개별 기업의 위험을 뜻하기도 한다. 시장의 움직임을...

  • 불완전취업자

    추가적으로 일할 의지와 능력은 있으나 일자리를 얻지 못해 주당 근로시간이 17시간 이하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