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ndividual savings account,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 개인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2016년 도입된 금융 상품이다.

하나의 통장으로 예금, ETF, 리츠를 포함한 다양한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등 여러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

발생한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이 제공돼 절세에도 유리하다. 만 19세 이상 국내 거주자는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의무 가입 기간은 3년이다.

ISA는 운용 방식에 따라 신탁형과 일임형으로 나뉜다. 신탁형은 투자자가 직접 금융상품을 선택하고 운용을 지시하는 방식이며, 일임형은 금융회사가 투자자로부터 운용을 위임받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제도 시행 이후 ISA 활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가입자 수는 2020년 말 194만 명에서 2024년 말 584만 명으로 늘었으며, 같은 기간 계좌 잔고도 5배 이상 증가해 약 32조 원에 달했다.

절세 효과로 인해 투자 수익률이 높아지면서 목돈 마련과 자산 형성에 효율적인 금융 상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에는 1인당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었으나, 정부는 2025년말 이를 폐지하고, ISA 납입 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ISA 시즌2'…주부·은퇴자·미성년자도 '만능통장' 가입 허용 추진

    ‘비과세 만능통장’으로 불리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가입자 범위가 가정주부와 은퇴 생활자, 미성년자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ISA를 통해 벌어들인 모든 금융소득에 세금을 물리지 않는 방안도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내놓겠다고 22일 밝혔다. 정책위원회 부의장(경제부문)으로 당내 ‘경제통’으로 통하는 최운열 의원이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최 의원은 “시행 중인 ISA는 영국 일본 등에 비해 제약이 많아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중구난방인 기존 절세 상품을 정리해 ISA로 세제 혜택을 집중시키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개정안은 국회를 무난히 통과할 전망이다. ISA가 새누리당과 정부의 합작품인 만큼 여당이 반대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업계도 새 법안을 지지하고 있다.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가입 범위를 확대하고 세제 혜택을 늘리면 ISA가 ‘국민 재테크 통장’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2016-06-23
  • 국제협력요원제도[International Cooperation Person]

    병역법과 국제협력요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병역 의무자 중에서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지원...

  •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무선설비를 보유하지 않고 무선사업자(MNO-mobile network operator)의 ...

  • 기교재판

    사실심리와 증거조사 결과에 따라 판결의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고, 판사가 맘 속에 이미 ...

  • 광고[advertising]

    산업·기업·비영리 조직 또는 개인에 의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통신되는 유료의 불특정 다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