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단지

 

토지의 합리적 이용과 지역 균형개발 등의 필요에 따라 공업 지역으로 지정한 구역. 1962년 울산공업단지를 시작으로 전국에 조성됐으며 당초 공업단지로 불렸다. 정부가 주도하는 국가산업단지와 민간이 추진하는 일반산업단지로 나뉜다.

사전 인허가에 따라 도로, 전기, 오폐수처리시설 등 기반시설이 조성된 뒤 기업이 입주한다. 수도권정비계획에 따라 면적 제한 규제를 받는다.

  • 소비자파산

    빚이 많아 이를 갚다 보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사람에게 빚을 면제해주는...

  • 소셜 애널리틱스[social analystics]

    트위터나 페이스북같은 소셜 미디어의 메시지를 분석하는 것. 데이터 마이닝 (data min...

  • 수시공시[timely disclosure]

    수시공시는 기업의 주요 경영 결정이나 사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즉시 모든 투자자에게 공개하...

  • 순외채[net foreign debt]

    한 나라가 외국에 실질적으로 지고 있는 총외채인 총대외지불부담에서 정부와 민간이 외국채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