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최저 재판매가격 유지 행위

 

제조업체가 정한 가격 이하로 유통업체가 제품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TV 제조업체가 대형마트에 TV를 공급하면서 ‘대당 100만원 미만 가격으로는 팔지 말라’고 할 때 100만원이 최저 재판매가격이다.

`최저 재판매가격 유지행위’를 허용한다는 것은 유통업체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최저가격 결정권이 제조회사에 주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2015년 5월 20일 공정거래위원회가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제조업체에 제품가격의 최저 판매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저 재판매가격 유지행위’ 허용하기로 한바 있다. 이 조치는 유통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우선 제조회사에 가격 결정권을 부여해 결과적으로 유통업체의 가격 경쟁을 제한하기로 한 것이 공정위의 본래 목적인 경쟁촉진에 부합하느냐는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 또 이것이 소비자 이익을 침해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으로 확대될 소지가 있다. 제조사와 유통업체 간 가격 결정권을 둘러싼 오랜 분쟁을 다시 촉발시킬 가능성도 있다.

  • 체험 판매장[flagship store]

    한 기업에서 생산한 여러 제품을 한곳에 모아서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매장을 말한다. 브랜드의...

  • 초대형 광탄석운반선[Very Large Ore Carrier, VLOC]

    화물적재량(재화중량) 20만톤 이상의 광석 운반선을 말한다.

  • 참조가격제

    성분별 · 용량별로 기준이 되는 참조가를 설정해 놓고 이보다 비싼 의약품을 소비자가 선택할...

  • 최빈개도국[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유엔이 지정한 아시아 아프리카의 극빈국가들. 2008년 현재 WTO 회원 32개국을 포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