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월드클래스 300

 

정부가 2017년까지 글로벌 강소기업 300개를 키우겠다는 프로젝트. 매출 400억~1조원인 중소·중견기업이 대상이다.
최근 5년간 연평균 매출증가율이 15% 이상이거나 최근 3년 연구개발(R&D) 투자비가 연매출의 2% 이상이어야 한다.

월드클래스300기업은 2018년도에 300개 사로 완성이 됐고, 2020년 말부터 후속 사업인 월드클래스플러스(+) 사업이 시행된다.

​월드클래스 기업은 2021년부터 매년 15개씩 향후 10년간 150개 기업이 추가로 선발되어, 약 450개사로 늘어날 예정이다.

한편, 월드클래스300 협회의 명칭도 300이라는 숫자를 빼고 월드클래스기업협회로 변경할 예정이다.

  • 유치 산업

    성장잠재력은 있지만 현재의 경쟁력은 뒤떨어져 있는 산업을 말한다. 이런 산업을 정부가 무역...

  • 윈도CE[Windows Consumer Electronics]

    마이크로소프트(MS)사가 PDA, 스마트 폰, PMP 용으로 개발한 운영체계(OS). 윈도...

  • 운전자금[working capital]

    운전자금은 임금, 원자재비 등의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는 데 필수적인 경영자금을 말한다. 일...

  • 이혼플래너

    이혼식을 포함해 이혼에 필요한 각종 이벤트와 법적절차를 관리 설계해주는 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