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편광판

 

두께가 머리카락 2~3개 정도 굵기인 0.3㎜의 초박막 필름으로 일정한 방향의 빛만 통과시켜 화상을 구현하는 LCD 및 OLED 핵심 소재다.
빛이 픽셀 사이 전극에 닿아 반사되는 것을 방지해 디스플레이 화면이 잘 보이도록 한다.
편광판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빛의 50% 이상이 흡수된다.

2021년 8월 16일 삼성디스플레이는 업계최초로 편광판이 없는 OLED 패널을 개발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폴드3'에 최초 적용했다고 밝힌바 있다. 편광판 대신 블랙PDL이란 소재를 사용한 것이다. 화소 주변에 검은색 패턴을 형성, 외부의 빛을 흡수하토록해 편광판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관련어

  • 펌뷸런스[pumbulance]

    소방펌프차(Pump)와 구급차(Ambulance)를 합성한 용어로 구급현장에 두 차량을 동...

  • 파워볼[Powerball]

    파워볼은 미국 44개주와 수도 워싱턴DC, 푸에르토리코 등 2개 미국령을 포함한 총 47개...

  • 포트폴리오 투자

    소액의 주식, 채권 및 기타 다른 유가증권 등을 여러 종류에 분할해 투자하는 방법이다. 위...

  • 페이-퍼-게이즈[pay-per-gaze]

    2013년 8월 구글이 특허 출원한 눈동자 추적 기술.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글이 향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