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편광판

 

두께가 머리카락 2~3개 정도 굵기인 0.3㎜의 초박막 필름으로 일정한 방향의 빛만 통과시켜 화상을 구현하는 LCD 및 OLED 핵심 소재다.
빛이 픽셀 사이 전극에 닿아 반사되는 것을 방지해 디스플레이 화면이 잘 보이도록 한다.
편광판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빛의 50% 이상이 흡수된다.

2021년 8월 16일 삼성디스플레이는 업계최초로 편광판이 없는 OLED 패널을 개발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폴드3'에 최초 적용했다고 밝힌바 있다. 편광판 대신 블랙PDL이란 소재를 사용한 것이다. 화소 주변에 검은색 패턴을 형성, 외부의 빛을 흡수하토록해 편광판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관련어

  • 필 파워[fill power]

    다운 1온스(28g)를 24시간 압축한 후 압축을 풀었을 때 부풀어 오르는 복원력을 말한다...

  • 파견

    파견업체가 고용한 근로자를 사용업체가 파견받아 지휘·감독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파견법상의 ...

  • 피라미딩[pyramiding]

    상승 추세가 확인 되면서 수익이 나게 되면 추가로 매수하는 기법이다. 주식을 살 때마다 투...

  • 평준보험료

    자연보험료의 경우 매년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노년에 이르러서는 보험료 납입이 거의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