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용후핵연료

[high-level waste]

원자력발전소에서 3~5년간 쓰고 남은 핵연료(폐연료봉)를 말한다. 강한 방사선과 고열을 방출하는 ‘고준위 핵폐기물’이다. 현재 국내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이 포화 상태에 있어 영구적 폐기 또는 재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원전에서 사용한 장갑, 옷 등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과 구별된다. 우라늄, 제논, 세슘, 플루토늄 등과 같은 맹독성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다. 강한 방사선과 높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사람이 접근할 수 없다.

관련어

  • 셀레늄[selenium]

    항산화제의 일종. 적혈구의 혈구소가 산화되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며 간경화증에서는 간의 재...

  • 신재생에너지포인트[Renewable Energy Point, REP]

    신재생에너지 생산인증서의 발급 및 거래단위로서 생산인증서 발급대상 설비에서 생산된 MWh...

  • 슬로 스티밍[slow steaming]

    해운업계에서 감속운항을 통해 운항되는 배의 숫자를 늘리는 정책으로 유류비를 낮추기 위한 것...

  • 수익증권[beneficiary certificates]

    1. 고객이 맡긴 재산을 투자운용하여 거기서 발생하는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 권리(수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