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회계거래

 

재무상태표의 자산·부채·자본에 변동을 가져오는 모든 거래를 일컫는다. 수익·비용을 발생시켜 순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손익거래와 출자·감자·배당 등 자본의 증감거래 등이 해당한다. 일반적인 재화·서비스 구매 공급과 화재·도난 사건도 포함된다. 단, 재화·서비스 구매 공급 시에는 계약 당시가 기준이 아니라 실제 재화·서비스를 받거나 제공했을 때 회계장부에 기록된다. 즉 계약 단계에서는 회계 거래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행 부가가치세법은 재화·서비스를 공급할 때 반드시 세금 계산서(대금 청구서)를 발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세금 계산서 발급 시점이 회계 거래 반영 시점이다.

  • 휘발성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증기압이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 ...

  • 환차손[foreign exchange losses]

    환율변동에 따른 손해를 말하는 것으로 환차익에 반대되는 개념. 3개월 뒤 값을 치르기로 하...

  • 핵치환기술

    체세포에서 핵을 추출한 후 이미 핵이 제거된 난자에 넣어주는 것. 사실상 환자 체세포를 복...

  • 현행시장접근[Current Market Access, CMA]

    기존의 저율 관세하에서 상당량의 수입이 있었던 품목에 대해서 현 수준의 수입물량이 유지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