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전철

 

경량전철의 줄임말로 도심과 도심 사이의 운행을 목적으로 한 일종의 철도차량. 도시철도는 수송중량을 기준으로 중량전철과 경량전철로 구분되며 지하철은 중량전철로 구분된다. 반면 경량전철은 차량이 작으며 도시철도 시스템 중에서 자동화된 차량운반방식을 기존 궤도철도 시스템에 맞게 적용한 방식이다. 경전철의 종류는 리니어 모터카, 모노레일, 디젤엔진과 전기를 병용하는 이중 동력궤도 정지버스로 나눌 수 있다. 또 전차와 같이 레일 위를 달리는 레일식과 버스와 같은 형태의 고무바퀴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수송용량이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로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본격 실용화됐다. 기존 도로변이나 도로 위에 건설할 수 있어 건설비용이 지하철에 비해 저렴하다.

  • 구매전용카드

    기업간 물품조달시 물품구매업체와 납품업체간에 사용되는 신용카드로서 현행 어음제도에서 비롯되...

  • 경찰관직무집행법

    경찰관이 법령 집행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로, 1981년 4월에 ...

  • 관리종목[administrative issue]

    관리종목은 한국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거나 투자자 보호...

  • 각자 대표

    복수의 대표이사가 대표 권한을 독립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경영 체제. 의사결정의 속도를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