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전철

 

경량전철의 줄임말로 도심과 도심 사이의 운행을 목적으로 한 일종의 철도차량. 도시철도는 수송중량을 기준으로 중량전철과 경량전철로 구분되며 지하철은 중량전철로 구분된다. 반면 경량전철은 차량이 작으며 도시철도 시스템 중에서 자동화된 차량운반방식을 기존 궤도철도 시스템에 맞게 적용한 방식이다. 경전철의 종류는 리니어 모터카, 모노레일, 디젤엔진과 전기를 병용하는 이중 동력궤도 정지버스로 나눌 수 있다. 또 전차와 같이 레일 위를 달리는 레일식과 버스와 같은 형태의 고무바퀴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수송용량이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로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본격 실용화됐다. 기존 도로변이나 도로 위에 건설할 수 있어 건설비용이 지하철에 비해 저렴하다.

  • 금융수지

    기업의 이자수익이나 배당금수익 등 금융수입에서 차입금에 대한 이자와 어음할인료 등의 금융비...

  • 그린 수소[Green Hydrogen]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수소와 산소를 분해해 생산하는 수전해수...

  • 기장사업자

    회계장부에 매출 매입상황을 일일이 기록해 소득금액을 신고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수입금액이 ...

  • 기업 온실가스 배출정보 공개제도

    기업이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시킨 온실가스 배출량과 종류 등 정보를 공개토록 하는 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