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트로이트협약

 

1950년 GM 노사가 체결한 협약. 근로자들의 퇴직후에도 연금과 건강보험료를 회사가 대신 내주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폴 크루그먼 등 분배를 강조하는 진보 경제학자들에게 ‘노사 합의의 모범’으로 거론되는 이 협약은 GM에 이어 다른 자동차 기업들에 폭넓게 적용됐다. 하지만 곧 과도한 노동비용이 미 자동차산업의 발목을 잡기 시작했다. 연금과 보험료 지급 부담은 1970년대를 거치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GM은 1993년 이후 15년간 1030억달러(약 115조원)를 여기에 쏟아부었다. 2009년 GM 파산 당시 복지비용을 지원받고 있던 퇴직자는 40만명으로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18만명)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 도시관리계획

    토지의 개발,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이용, 교통, 환경, 경관, 안전,산업, ...

  • 도서정가제

    책 소매가격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할인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제도로 2003년 부터 시행되...

  • 대체결제제도[book entry clearing system]

    유가증권거래는 증권거래소를 통하여 결제하거나 각 거래원간에 거래가 많을 때는 개별적으로 결...

  • 데스 밸리[death valley]

    신생 기업이 창업 초기 단계에서 자금난, 시장 진입 실패, 운영상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