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로이트협약
1950년 GM 노사가 체결한 협약. 근로자들의 퇴직후에도 연금과 건강보험료를 회사가 대신 내주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폴 크루그먼 등 분배를 강조하는 진보 경제학자들에게 ‘노사 합의의 모범’으로 거론되는 이 협약은 GM에 이어 다른 자동차 기업들에 폭넓게 적용됐다. 하지만 곧 과도한 노동비용이 미 자동차산업의 발목을 잡기 시작했다. 연금과 보험료 지급 부담은 1970년대를 거치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GM은 1993년 이후 15년간 1030억달러(약 115조원)를 여기에 쏟아부었다. 2009년 GM 파산 당시 복지비용을 지원받고 있던 퇴직자는 40만명으로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18만명)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
동기조사[motivational research]
소비자의 구매 이면의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사람들의 행동이나 구매의 특징을 심리학적인 면을...
-
대형 마트
매장 면적 3,000㎡ 이상인 점포로 법적 용어는 대규모 점포. 연면적 3000㎡ 미만인 ...
-
당좌대출[overdrafts]
은행과 당좌거래를 하고 있는 업체가 예금잔액을 초과해 일정 한도까지 어음이나 수표를 발행하...
-
대미 외국인투자위원회[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CFIUS]
외국인의 미국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을 포함한 투자가 미국안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