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최종 재화와 서비스

 

빵에 들어가는 밀가루나 설탕처럼 다른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들어가는 ‘중간재’가 아닌, 소비될 수 있는 상태의 것들을 말한다. 같은 밀가루나 설탕이라도 가정에서 소비되면 최종재다. GDP 계산에서 중간재를 제외하는 이유는 최종재 가치에 중간재 가치가 이미 포함되었기 때문에 이중계산을 피하기 위해서다.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모두 합한 것이 국내총생산(GDP)이다.

  • 착용로봇[wearable robot]

    옷처럼 몸에 착용하고 동작 의도에 따라 근력을 증폭시켜 작업능력을 더해주는 로봇이다. 착용...

  • 첨두발전

    원자력이나 화력발전과는 달리 전력 공급이 부족할 때만 가동할 수 있는 발전방식을 말한다. ...

  • 체비지

    토지구획 정리사업을 하면서 사업재원으로 쓰기 위해 확보해 놓은 땅을 말한다. 토지구획 정리...

  • 출구전략[exit strategy]

    경제회복을 위해 공급됐던 과잉 유동성이나 각종 완화정책을 경제에 큰 부작용 없이 서서히 거...